정보마당

한국항공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함께합니다.

사업공고

[수정 공고] 2020년도 환경기술개발사업(미세플라스틱 및 미세먼지 사각지대 사업)신규과제 추진 수정 공고

2020-04-03 2,587

환경부 공고 제2020-394호

2020년도 환경기술개발사업(2개) 신규과제 선정 (수정)공고

'20년도 환경부 환경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추진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연구개발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 단체 또는 사업자는 2020.4.27.(월) 17:00까지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제안요구서(RFP)가 수정된 ‘미세먼지 사각지대 해소 및 관리 실증화 기술개발사업’은 2020.5.4(월) 17:00까지 신청

2020년 4월 3일

환경부 장관

<수정사항>

구 분

당초 (제2020-354호, ‘20.3.27)

수정 (제2020-394호, ‘20.4.3)

(3p)

I. 추진계획 공고

'20년도 환경부 환경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추진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연구개발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 단체 또는 사업자는 2020.4.27(월) 17:00까지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년도 환경부 환경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추진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연구개발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 단체 또는 사업자는 2020.4.27(월) 17:00까지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제안요구서(RFP)가 수정된 ‘미세먼지 사각지대 해소 및 관리 실증화 기술 개발사업’2020.5.4(월), 17:00까지 신청

(11p)

8. 공고기간 및 문의처

공고 및 접수기간 : '20. 3. 27 ∼ ’20. 4. 27, 17:00 까지

공고 및 접수기간 : '20. 3. 27 ∼
’20. 4. 27, 17:00 까지

사업제안요구서(RFP)가 수정된 ‘미세먼지 사각지대 해소 및 관리 실증화 기술 개발사업’2020.5.4(월), 17:00까지 신청

(22p)

□ 2020년도 사업제안요구서(RFP)

기술개발목표

< 당초 >

구분

항목 (단위)

국내수준

해외수준

개발목표

시멘트공정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SNCR 및 SCR 동시적용 실증 기술개발

Stack NOx 농도 (ppm)1)

250

1002)

< 813)

Stack NH3 농도 (ppm)1)

204)

-

≤ 165)

SNCR 효율 (%)

40

65

≥ 506)

SCR 효율 (%)

-7)

43 - 952)

≥ 708)

SCR 운전 온도 (℃)

-7)

250 - 400

≤ 250

SCR 공간속도 (h-1)

-7)

-

≥ 6,000

< 수정 >

구분

항목 (단위)

국내수준

해외수준

개발목표

시멘트공정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SNCR 및 SCR 동시적용 실증 기술개발

Stack NOx 농도 (ppm) 1)

250

100 2)

< 81 3)

Stack NH3 농도 (ppm) 1)

20 4)

-

≤ 16 5)

SNCR 효율 (%)

40

65

≥ 50 6)

SCR 효율 (%)

- 7)

43 – 95 2)

≥ 70 8)

SCR 운전 온도 (℃)

- 7)

250 - 400

≤ 250

SCR 공간속도 (h-1)

- 7)

-

≥ 6,000

(23p)

□ 2020년도 사업제안요구서(RFP)

기술개발목표

< 당초 >

구분

항목

국내수준

해외수준

개발목표

목재난방기기(화목난로, 화목보일러 등)의 미세먼지 저감 기술개발

용량1) (kW)

< 70

< 500

70

먼지 2) (mg/m3)

< 150

< 150

< 80

CO 3) (ppm)

< 15,000

< 2,000

< 500

< 수정 >

구분

항목

국내수준

해외수준

개발목표

목재난방기기(화목난로, 화목보일러 등)의 미세먼지 저감 기술개발

용량 1) (kW)

< 70

< 500

70

먼지 2) (mg/m3)

< 150

< 150

< 80

CO 3) (ppm)

< 15,000

< 2,000

< 500

(29p)

다. 추진일정

공고 및 접수기간 : '20. 3. 27 ∼ ’20. 4. 27, 17:00 까지

공고 및 접수기간 : '20. 3. 27 ∼
’20. 4. 27, 17:00 까지

사업제안요구서(RFP)가 수정된 ‘미세먼지 사각지대 해소 및 관리 실증화 기술 개발사업’2020.5.4(월), 17:00까지 신청

1. 사업개요

□ 2개 환경기술개발사업 공고

사업명

사업목적

‘20년도 신규과제수* 및 지원예산(억원)

미세플라스틱 측정 및 위해성평가 기술개발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국민 불안을 완화하고 체계적인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미세플라스틱 환경오염 및 인체 건강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기술 개발

6개 과제 내외

총 42억원 내외

미세먼지 사각지대 해소 및 관리 실증화 기술개발

미세먼지 사각지대 배출 미세먼지 직접 저감기술 및 측정·분석 기술 확보를 통한 미세먼지 사각지대 해소·관리 및 국가 미세먼지 관리 정책 기술 지원

3개 과제 내외

총 21억원 내외

* 총괄과제수 기준

2. 신규과제 공모내용

분 야

공모 방법

추진

단계

추진

방식

기술 개발 단계

과제명 또는 세부기술

지원

기간

‘20년 정부출연금

(총 정부출연금)

미세플라스틱 측정 및 위해성평가

기술개발

자유

공공

활용

연구단

응용

미세플라스틱 정밀측정(전처리‧분석‧표준물질 확립) 기술 개발*

3년

이내

22억원 내외

(총 3년 72억원 내외)

자유

공공

활용

개별/

통합

응용

환경 중 미세플라스틱 신속 측정을 위한 정량분석 기술 개발

3년

이내

4.5억원 내외

(총 3년 18억원 내외)

자유

공공

활용

개별/

통합

응용

지하수 내 미세플라스틱 풍화 거동평가 및 발생량 예측 기술 개발

3년

이내

4.5억원 내외

(총 3년 18.5억원 내외)

자유

공공

활용

개별/

통합

응용

수계환경 내 오염원별 특성을 고려한 미세플라 스틱 거동 및 오염 부하량 예측 기술 개발

3년

이내

4.5억원 내외

(총 3년 19억원 내외)

자유

공공

활용

개별/

통합

응용

흡입 경로 및 거동(축적, 분포, 배출 등)에 따른 노출평가 기술 개발**

5년

이내

5억원 내외

(총 5년 30억원 내외)

자유

공공

활용

개별/

통합

응용

미세플라스틱 함유 유해물질의 인체 전이 평가 기술 개발**

5년

이내

5억원 내외

(총 5년 30억원 내외)

미세먼지

사각지대 해소 및 관리 실증화 기술개발

지정

실증화

개별

개발

중소규모 사업장 VOC 배출 저감을 위한 농축 및 촉매 산화 시스템 개발

3년

이내

6억원 내외

(총 3년 20억원 내외)

지정

실증화

개별

개발

시멘트공정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SNCR 및 SCR 동시 적용 실증 기술 개발

2년

이내

12억원 내외

(총 2년 35억원 내외)

자유

실증화

개별

개발

목재난방기기(화목난로, 화목보일러 등)의 미세먼지 저감 기술개발

3년

이내

3억원 내외

(총 3연 12억원 내외)

* 서면 심층평가(Peer review) 대상

* * 혁신도약형 과제

※ 예산 현황 등에 따라 일부 과제 미추진 및 변경 추진 가능

3. 추진방식·단계 및 공모방법

구 분

내 용

추진방식

개별과제

- 단일과제로 구성·수행되는 단위과제로 하나의 독립기술을 개발해 기술의 사업화 또는 정책 활용을 달성하는 과제

통합형과제

- 총괄과제와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수행되는 과제로, 2가지 이상의 독립된 세부 기술개발을 통합한 일체형 기술을 개발하는 과제

연구단과제

- 환경정책의 실현을 위해 장기, 집중투자가 필요한 공익성격이 큰 기술을 연구단장 책임하에 개발하는 과제

추진단계

공공활용

- 제도개선 등 정책 활용 및 공공분야의 기술개발을 위해 추진되는 과제

※ 정부출연금 100% 지원(민간부담금 없음)

실용화

- 기업이 참여하여 기술개발의 실용화를 목적으로 추진되는 과제

※ 참여기업 유형에 따라 정부출연금 50∼75% 지원

실증화

- 개발된 기술의 실증설비 적용을 위하여 최적화·규모확장 및 주변기술 확보 등을 목적으로 추진되는 과제

※ 참여기업 유형에 따라 정부출연금 50∼75% 지원

실증화

(수요자기반)

- 수요자(대기업, 중견기업, 공기업, 지자체)가 구매의사를 밝히고 개발을 제안한 기술에 대해, 기업이 주도적으로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과제

※ 참여기업 유형에 따라 정부출연금 50∼75% 지원

공모방법

지정공모

- 사업제안요구서(RFP)의 ‘세부개발 대상기술’, ‘기술개발목표’, ‘연구성과물’, ‘성과목표’에 부합하는 기술에 한하여 신청하는 과제

※ ’20년도 사업제안요구서 참조 및 사업제안요구서(RFP) 내용상 보완이 필요한 부분은 일부 제안 조정 가능

자유공모

- 사업제안요구서(RFP)의 ‘기술개발목표’, ‘연구성과물’, ‘성과목표’에 부합하는 기술에 한하여 ‘세부개발 대상기술’을 신청한 연구기관이 자유로이 제안한 과제



※ 원본게시물 링크 주소 입니다.(링크를 클릭하세요)